지각, 조퇴하는 경우 주휴수당이 줄어들까?
지각, 조퇴하는 경우 주휴수당이 줄어들까?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일을 '개근' 하는 것이며,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으로 볼 수 없어, 해당 주에는 당연히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지각이나 조퇴를 하는 경우에 주휴수당 금액에 영향을 미칠까요? 40시간에 대한 주휴수당은, 9,620원 x 40시간(소정근로시간) ÷ 40시간 x 8시간 = 76,960원 입니다. 30시간에 대한 주휴수당은, 9,620원 x 30시간(소정근로시간) ÷ 40시간 x 8시간 = 57,720원 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하루8시간, 주40시간 최저임금을 받고, 근무하는 근로자가 금요일 4시간 근무하고 조퇴를 하였습니다. 즉, 해당 주에는 36시간을 근로한 것 입니다. 위에서 계산한 것과 같이, 36시간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
2023. 3. 22.
근로자성 판단 기준 (3.3% 프리랜서는 근로자일까??)
근로자성 판단 기준 (3.3% 프리랜서는 근로자일까??) 통상 프리랜서는 3.3% 사업소득으로 지급하는데, 3.3%로 공제한다고하여 반드시 프리랜서는 아니다. 법적으로 근로관계가 없으며, 일시적인 소득은 기타소득, 근로관계가 없으며 지속적인 소득은 사업소득이라고 본다. 예를 들면, 편의점 아르바이트의 경우 근로자이지만,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세금을 아끼기 위해 관행적으로 3.3%로 공제하는 경우가 많다. 프리랜서인지 근로자인지 다툼이 발생하는 직군은 대표적으로, 학원강사, 미용실 디자이너, 헬스 트레이너, 네일아트 직원, 핸드폰 판매원, 골프장 캐디 등이 있다. 다음의 내용을 확인 후 본인의 업무 특성이 근로자로 인정된다면, 근로기준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주휴수당, 연차, 퇴직금 등을 적용 받을 ..
2023. 1. 1.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자 90%가 모르는 내용 (통상임금, 평균임금 비교)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자 90%가 모르는 내용 (통상임금, 평균임금 비교) 주 15시간 이상, 연속해서 1년 이상 근무하는 경우 퇴직금이 발생합니다. 퇴직금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에서 평균임금은 3개월동안 지급받은 임금총액에서 해당일수(90~92일)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근로자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근로계약기간 2022.1.1 ~ 2022.12.31 소정근로시간 40시간 월 급여 3,000,000원 위 근로자의 3개월간 총 급여는 9,000,000만원, 3개월간 일수는 92일 (10월: 31일, 11월: 30일, 12월: 31일) 입니다. 그렇다면, 평균임금은 97,827원 (900만원/92일) 이 됩니다. 평균임금으..
2022. 12. 28.
2023년 건강보험료율 인상 (+ 건강보험료 확인 방법)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료비 증가와 지속적인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으로 2023년 건강보험료율이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건강보험요율 구분 2023년도 건강보험료율 7.09% 장기요양보험료율 0.9082% 건강보험료(7.09%) + 장기요양보험료(0.9082%) = 7.9982% 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사용자납입분이므로 7.9982% x 50% = 3.99%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월급이 2,500,000원이라면, 건강보험료: 2,500,000원 x 7.09% x 50% = 88,620원 장기요양보험료: 2,500,000원 x 0.9082% x 50% = 11,350원 합계 : 99,970원 입니다. 위 건강보험료 계산이 1원 단위는 절사 해주셔야 합니다. (ex, 88,625원으로 계산..
2022. 12. 28.
산업안전보건교육 대상조회하는 방법
산업안전보건교육 대상조회하는 방법 법정의무교육 중 하나인 산업안전보건교육 대상 사업장인지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교육과 관련하여 대상, 종류, 시간, 내용, 자체교육 등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 교육 : 대상, 종류, 시간, 내용, 자체교육 등 총정리 산업안전보건 교육 : 대상, 종류, 시간, 내용, 자체교육 등 총정리 산업안전보건 교육 : 대상, 종류, 시간, 내용, 자체교육 등 총정리 사업장 내 유해·위험요인 및 산재예방을 위한 안전 및 보건조치 등 근로자가 안전하게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업 harrys.tistory.com 사이트를 통해 안전보건교육 대상 사업장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드릴 사이트는 안전보건공단..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