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근로기준법

"반차" 뜻, 개념, 법적 의무에 대해

by 인사부장 2022. 6. 20.

"반차" 뜻, 개념, 법적 의무에 대해

반차, 연차, 월차 등 연차 휴가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명칭이 있습니다. 반차, 월차, 시차 등 모두 근로기준법상 연차 유급휴가에 해당됩니다.

 

반차 뜻, 개념

월차는 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 한달 만근시 연차 1개가 발생한다고 하여 월차라 명칭하며, 반차는 연차의 2분의 1개념으로 반차라고 합니다. 요새는 반반차, 시차와 같이 4분의 1(반반차), 8분의 1(시간차) 등의 연차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회사도 자주 보입니다.

 

근무시간이 9~18시이며, 중간 휴게시간 1시간을 제외하면 하루 8시간 근무입니다. 이 중 4시간을 근무하고 4시간은 연차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9시~13시까지 근무후 오후 4시간 반차를 사용하는 것, 오전 4시간 반차를 사용후 14시~18시까지 근무하는 방법이 있을 것 입니다. 해당 근무시간이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9~12시 (오전근무, 3시간), 12~13시 (점심시간, 1시간), 13시~18시 (오후근무, 5시간)인 경우,

오후반차(연차 0.5개)를 사용하면, 오전 3시간 근무하면 되는 것이며, 반대로 오전반차를 사용하면 오후는 5시간을 근무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연차 15개를 시간으로 산정하여 시간으로 관리하는 방법도 있을 것 입니다.

예를 들면, "연차 15개 x 8시간" = 120시간..

 

1시간 단위로 시간차 사용, 혹은 위와 같이 오전반차시 3시간 차감, 오후반차시 5시간 차감 등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는 회사 내규에 따르면 됩니다.

 


 

 

반차 법적 의무?

근로기준법에서는 연차휴가를 1일 단위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반차휴가와 관련된 법적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반차휴가 제도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법적으로 위반한 내용이 없다는 것 입니다.

 

반차, 반반차, 시간차 등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에서 별도로 정하여 운용하시면 되며, 유연한 근무를 위하여 해당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포스팅

 

연차발생 기준 및 연차계산 방법

 

연차발생 기준 및 연차계산 방법

연차발생 기준 및 연차계산 방법 오늘은 연차발생 기준 및 연차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연차휴가 발생기준 연차휴가 발생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년 미만 근무자 및 만 1년 이상

harrys.tistory.com

예비군 훈련시,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예비군 훈련시,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예비군 훈련시,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예비군 소집시 회사에서는 유급으로 처리해야할까요? 무급으로 처리해야할까요? 근로기준법과 예비군법 관련하여, 근로자가 예비군 휴가로 인해 휴가

harrys.tistory.com

연차휴가 사유 작성 필수일까요?

 

연차휴가 사유 작성 필수일까요?

연차휴가 사유 작성 필수일까요? 어떤 사유로 연차를 사용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글에 "연차사유"라고 검색하면, "연차사유 추천"이라고 연관검색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로

harrys.tistory.com

"반차" 뜻, 개념, 법적 의무에 대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