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2 (연차개수 및 연차수당 계산법) 내 연차휴가 몇개일까? (연차개수 및 연차수당 계산법) 내 연차휴가 몇개일까? 연차 유급휴가란, 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 1개월 만근시 1개의 연차(월차)가 발생, 1년을 근무하면 15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연차란 1년에 대한 보상이며, 만 1년 + 1일(366일)을 근무해야 연차가 발생합니다. 목차 연차휴가란? 연차개수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휴가란? 법정 연차 유급휴가를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① 1년간 80%이상 출근한 경우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연차)를 준다. ② 1년간 80%미만으로 출근하거나 1년 미만 근무(신입)인 경우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연차)를 준다. ③ 3년 이상 계속 근무할 경우 2년에 1일씩 가산된다. (최대 25개) ④ 1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한다. 연차휴가 개수 연차개수와 관련하여.. 2021. 6. 10. (실수령액 계산방법) 내 월급! 무엇이 공제될까?? (실수령액 계산방법) 내 월급! 무엇이 공제될까?? 오늘의 주제는 근로계약서와 다른 내 월급! 무엇이 공제될까?? (실수령액 계산방법)입니다. 근로계약서에 작성된 월급과 실제로 수령하시는 월급이 상이하여 궁금증을 가지신(졌던)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 또한 무엇이 이렇게 공제가 많이되는지 궁금했었구요..) - 월급에서 공제되는 항목은 총 5가지!! 월급에서 공제되는 항목으로는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공제가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세 - 소득세란? 워딩 그대로 근로를 제공하고 받은 소득에 대하여 납부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소득세는 국가(국세청)에 납부를 합니다.) 소득세는 "%"가 정해져있지 않고,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 2021. 6. 9. 이전 1 ···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