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건강검진 과태료, 미수검시 불이익
직장인 건강검진 과태료, 미수검시 불이익 직장인이라면 주기별(사무직 2년/비사무직 1년마다)로 건강검진을 수검하여야 합니다. 건강검진을 수검하지 않아 회사에서 연말까지 수검 받으라고 독촉도 받아보셨을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미수검시 과태료 등 어떠한 불이익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건강검진 사무직은 2년에 1회, 비사무직은 1년에 1회 일반건강검진을 해당년도 12월 31일까지 수검하여야 합니다. 사무직의 경우 2년에 1회 수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홀수년생은 홀수년도, 짝수년생은 짝수년도에 수검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95년생(홀수)이면 21년도, 23년도(홀수)에 수검하여야 합니다. 수검내용으로는 체중, 시력, 청력 검사, 혈압체크, 피검사, 요검사, 흉부엑스레이 촬영, 의사 문진 등이 있습..
노동법
2022. 12. 9.
-
보건증 발급 방법 (검사항목, 비용, 기간 등)
보건증 발급 방법 (검사항목, 비용, 기간 등) 보건증은 일반음식점 등 완제품이 아닌 음식을 제조, 조리, 운반, 판매에 직접적으로 종사하는 업종에서 일을 한다면 반드시 필요한 서류 입니다. 보건증 발급방법과 검사항목, 비용, 기간, 준비물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보건증이란? 보건증 검사항목 검진기관 확인방법 및 준비물 보건증 발급 방법/비용 발급기간 및 유효기간 보건증이란? 과거에는 보건증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나 현재 정확한 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입니다. 명칭이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증이라는 단어가 익숙하기 때문에 현재도 보건증이라 부릅니다. 「식품위생법」 제40조에 의거하여, 음식과 관련된 업종에 직접적으로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입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검사항목은 다..
생활정보
2022.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