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계약서 작성방법 총 정리(작성시기, 주의사항, 양식, 미작성시 벌금)
근로계약서 작성방법 총 정리 (작성시기, 주의사항, 양식, 미작성시 벌금) 오늘은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은 사업주든, 근로자든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향후 최저임금, 주휴수당, 퇴직금 등과 관련하여 임금체불로 다툼이 발생할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하였을때, 근로계약서가 "객관적 증빙"이 되기 때문에 근무 첫날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업주의 입장에서도 계약서 미작성시 근로자가 2~3일 근무하고, 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신고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목차 근로계약이란? 근로계약서 작성방법 근로조건①: 임금 근로조건②: 소정근로시간 근로조건③: 휴일 근로조건④: 유급휴가 근로계약서 작성시기 근로계약이란?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
노동법
2021. 7. 19.
-
5인미만 사업장, 적용제외 근로기준법 총 정리
5인미만 사업장, 적용제외 근로기준법 총 정리 오늘은 "5인미만 사업장에 적용제외되는 근로기준법"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지난 2주일간 노동법과 관련된 포스팅을 많이했습니다. 연차, 주휴수당, 통상임금, 실업급여, 퇴직금, 야간수당 등등.. 하지만 사업장 규모에 따라 적용받을 수 없는 항목이 있습니다. 다음에 5인미만 사업장이라고 검색해보았습니다. 다음과 같이 많은 연관검색어들이 보입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인 경우에 어떠한 법들이 적용되지 않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상시근로자 5인 기준은?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일용직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 근로상태를 불문하고,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가 상시인원에 포함됨. * 휴직자도 상시근로자에 포함됩니다. 5인이상 사업장 : 상시근로자수 확인 방법..
노동법
2021. 6. 26.
-
통상임금이란? 개념 및 계산방법
통상임금이란? 개념 및 계산방법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통상임금) 위에 말 그대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여타 수당을 막론하고 통상임금으로 보는 것입니다. 식대, 기타수당, 교통비, 연구보조비, 가족수당, 자격수당 등 매월 급여에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입니다. 다음 대법원 판례는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통상임금의 개념 및 판단 기준 (가)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근로인 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
노동법
2021.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