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료비 증가와 지속적인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으로 2023년 건강보험료율이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건강보험요율
구분 | 2023년도 |
건강보험료율 | 7.09% |
장기요양보험료율 | 0.9082% |
건강보험료(7.09%) + 장기요양보험료(0.9082%) = 7.9982% 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사용자납입분이므로 7.9982% x 50% = 3.99%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월급이 2,500,000원이라면,
건강보험료: 2,500,000원 x 7.09% x 50% = 88,620원
장기요양보험료: 2,500,000원 x 0.9082% x 50% = 11,350원
합계 : 99,970원 입니다.
위 건강보험료 계산이 1원 단위는 절사 해주셔야 합니다. (ex, 88,625원으로 계산 88,620원으로 산정)
건강보험료를 알고 있다면, 월급을 역산하실 수 있습니다.
위를 예시로, 건강보험료가 99,970원인 것을 알고 있다면 '99,970원/3.99%' 로 계산을 하면 월급이 약 250만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도 건강보험료 인상과 관련하여 원문은 다음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건강보험료 확인하기
①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② 보험료 조회/납부

③ 직장보험료 조회

직장보험료 조회에 들어가셔서 조회년도를 선택해주시고, 조회를 해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진행하셨으면, 다음과 같이 월별로 보수월액 및 건강보험료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세청 연소득 확인방법) 연소득 확인하기
(국세청 연소득 확인방법) 연소득 확인하기 오늘은 연소득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득은 최근 5개년도까지 확인이 가능하며 근로소득, 퇴직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 확...
harrys.tistory.com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성 판단 기준 (3.3% 프리랜서는 근로자일까??) (1) | 2023.01.01 |
---|---|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자 90%가 모르는 내용 (통상임금, 평균임금 비교) (0) | 2022.12.28 |
산업안전보건교육 대상조회하는 방법 (0) | 2022.12.21 |
[연말정산] "월세액" 공제대상, 조건, 제출서류 등 (2) | 2022.12.09 |
[연말정산] 중도입/퇴사자 "종전근무지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등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