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근로기준법

휴일근무 대체휴가란? (사전대체, 사후대체)

by 인사부장 2022. 8. 19.
반응형

휴일근무 대체휴가란? (사전대체, 사후대체)

휴일근무 대체휴가

휴일은 일반적으로 일을 쉬는 날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만약 주휴일이나 공휴일에 근무할 경우 휴일근로수당을 50% 가산(통상임금의 1.5배)해서 지급해야하는데요. 근로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대체처리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처리하냐 사후에 처리하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지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휴일근로수당) 일요일 근무시 수당이 발생할까?

 

휴일근로 사전대체

주휴일, 공휴일 등 불가피하게 휴일에 근무해야 한다면, 당사자와 합의하에 휴일에 근로하는 대신 다른 소정근로일을 휴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주휴일의 경우, 24시간 이전에 근로자에게 대체사실 및 사유를 통보한다면 휴일근로가 아니라 소정 근로일이 됩니다. 

주휴일은 법에 따라 1주일에 1회 이상 유급으로 보장해야하는데, 당사자와 합의를 하여 다른 날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변경된 주휴일은 '당초 휴일로부터 6일 이내*' 또는 '다음 주휴일 이전*'에 부여해야 합니다.

 

대체휴일을 어떻게 지정해야하는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2022.7.17(일)에 휴일근무를 하고 24시간 이전에 사전합의가 되었다면, 

 

당초 휴일로부터 6일 이내* 는 2022.7.11(월) ~ 2022.7.15(금) 중 에 휴일이 대체되어야 하며,

다음 주휴일 이전* 는 다음주휴일인 2022.7.24(일) 이전 주인 2022.7.18(월) ~ 2022.7.22(금) 중 에 휴일이 대체되어야 합니다.

 

공휴일의 경우, 다음과 같이 근로기준법에서 방법을 정하고 있습니다.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는 특정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해당 대체휴일의 경우에는 언제까지 부여한다는 법적 규정이 별도로 없으므로, 특정한 날 쉴 수 있도록 당사자간 합의하면 됩니다.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②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노사간 합의하더라도 다른 날로 휴일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날 법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요일에 근무한다면 반드시 휴일근로수당을 가산해서 지급해야 합니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有給休日)로 한다.

 

단체협약 등에서 특정된 휴일을 근로일로 하고 대신 통상의 근로일을 휴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두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근로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 미리 근로자에게 교체할 휴일을 특정하여 고지하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적법한 휴일대체가 되어, 원래의 휴일은 통상의 근로일이 되고 그 날의 근로는 휴일근로가 아닌 통상근로가 되므로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99다7367, 2000.9.22.)

 

결론적으로, 휴일근로 사전대체는 휴일근로수당 1.5배 없이 1:1로 대체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휴일근로 사후대체

 

휴일근로의 사후대체는 사전에 합의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조건150%(1.5배)로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휴일근로수당 1.5배를 지급하는 것이 맞으며, 당사자간 합의가 있다면 1.5개(가산)의 연차로 보상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사전대체처럼 다른 소정근로일에 휴무하게 하면, 통상임금의 100%에 해당하는 임금만 보존해준 것이므로 50%는 별도로 지급해야합니다.

 

단체협약상 공휴일에 근로한 것에 대해 휴일근로수당으로서 통상임금의 150% 지급할 의무가 있지만 공휴일에 대신하여 대휴로서 통상의 근로일에 휴무하였으므로 통상임금의 100%에 해당하는 금원은 공제한 50%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
(서울중앙지법 2004가단273036, 2005.12.2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