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근로기준법

외국인 2년 초과 근무시 정규직 여부

by 인사부장 2022. 7. 16.
반응형

외국인 2년 초과 근무시 정규직 여부 

외국인을 2년 이상 사용할 경우 정규직 여부

기간제법에서는 기간제 근로자를 2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2년이상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정규직)로 볼 수 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2년 이상 초과하여 근로할 경우 정규직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기간제법 제4조에서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2년 이상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업의 완료를 위한 경우인데요. 공사현장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사 완공까지 3년이 소요된다고 하면, 3년까지는 기간제 근로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기간제근로자의 사용)

①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근로한 총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할 수 있다. <개정 2020. 5. 26.>

1. 사업의 완료 또는 특정한 업무의 완성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경우
2. 휴직ㆍ파견 등으로 결원이 발생하여 해당 근로자가 복귀할 때까지 그 업무를 대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3. 근로자가 학업, 직업훈련 등을 이수함에 따라 그 이수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경우
4. 「고령자고용촉진법」 제2조제1호의 고령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5. 전문적 지식ㆍ기술의 활용이 필요한 경우와 정부의 복지정책ㆍ실업대책 등에 따라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6. 그 밖에 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 준하는 합리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②사용자가 제1항 단서의 사유가 없거나 소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제근로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본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중략>

③ 법 제4조제1항제6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정 2010. 2. 4., 2010. 7. 12., 2019. 6. 11.>
1. 다른 법령에서 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을 법 제4조제1항과 달리 정하거나 별도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경우

<이하생략>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18조(취업활동 기간의 제한)

외국인근로자는 입국한 날부터 3년의 범위에서 취업활동을 할 수 있다.


외국인근로자는 2년을 초과하여 근무하더라도 기간제법에 따라 기한의 정함이 없는 정규직으로 볼 수 없으며, 외국인고용법상 최대 3년까지 취업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